본문 바로가기
약물치료학

변비의 약물치료

by Info Care 2024. 5. 3.
반응형

약물치료

치료의 목표

변비환자 치료의 주요 목표는 다음과 같다.

  1. 이차적 원인을 규명하고 치료할 것
  2. 증상완화
  3. 정상적인 장기능을 되찾을 것

비약물요법

대부분의 변비 환자 치료 시 가장 중요한 부분은 식이섬유 섭취를 늘리도록 하는 식습관의 개선이며, 식습관 개선은 완화제 사용에 앞서 시행되어야 한다. 변비의 치료는 증상의 특성과 중증도에 따라 이루어진다. 식이섬유 섭취는 대변과 세균증식층으로의 수분 이동을 증진시킴으로써 대변의 부피를 증가시키는데, 식이섬유 섭취를 서서히 하루 20-50g으로 증가시킴으로써 증상의 개선을 기대할 수 있다. 섬유질이 풍부한 음식으로는 콩류, 통 곡물, 현미, 신선한 과일과 야채 등이 있다. 변비환자는 가공된 고기류 및 핫도그와 특정 치즈류, 아이스크림과 같이 섬유소 함량이 낮은 가공된 음식의 섭취를 피해야 한다. 또한 충분한 섭취 역시 중요하다. 환자는 갈증이 날 때마다 수분을 섭취하는 것이 장려되어야 한다. 갈증기전은 나이에 따라 변하며 일일 수분섭취량 일기를 적도록 하는 것은 수분섭취를 하도록 매번 상기시켜야 하는 환자의 경우 도움이 될 수 있다. 걷기와 그 외 유산소 운동들은 하복부 근육 강화를 도움으로써 전방추진 장 운동을 촉진한다. 변비는 좌식생활을 많이 하는 사람들에게서 흔히 나타나는 증상이다. 매일 대부분의 사람들이 위결장반사로 알려진 강한 연동작용을 경험하며 일반적으로 장운동이 그 뒤를 잇는다. 장운동이 필요하다는 욕구가 있을 때 그 배변의 욕구를 간과해서는 안되는데 일부 사람들은 다양한 이유로 배변을 늦추어 변통과를 더욱더 어렵게 만든다. 매일 배변을 정기적으로 시도할 수 있도록 계획을 세우는 것이 중요하며, 바쁜 생활패턴이라는 이유로 정상적인 장 기능을 방해하게끔 해서는 안된다.

약물요법

경구용 완화제는 변비의 완화를 위한 제1순위의 약물요법이다. 다양한 약물군이 경구용 완화제로 쓰이며 다음과 같다.

팽창성 하제

팽창성 하제에는 자연유래 성분(ex. Psyllium), 반합성 성분(ex. Polycarbophil)이거나 합성 성분(ex. Methylcellulose)이 있다. 팽창성 하제는 장내 수분 흡수를 통해 팽창되어 대변 제거와 장내 연동 촉진을 돕는 겔을 형성하여 작용하며 복용 시 고창과 복부경련을 유발할 수 있다. 팽창성 하제는 식도에 걸려 식도폐쇄를 유발하거나 장을 막아서 변비를 악화시키는 것을 피하기 위해 충분한 물(240 mL)과 함께 복용해야 한다. 과민성 반응이 일어날 수 있고 드물지만 아나필락시스 반응(과민증)이 발현될 수도 있다.

연화성 하제

표면활성제 및 대변연화제로 작용하는 연화성 하제(ex. Docusate sodium)는 변 표면의 습윤작용을 증가시킴으로써 연화 효과를 초래하며 표면의 마찰을 줄여 변의 통과를 보다 용이하게 한다. 다른 하제보다는 효과발현 시기가 비교적 늦으며, 장기적인 변비의 치료에는 효과가 적기 때문에 추천되지는 않는다.

삼투성 하제

삼투성 하제는 물이 대장 내강으로 유입하게 만든다. Lactulose, sorbitol, glycerin 등은 삼투성 당류 하제이다. 전해질이 함유된 polyethylene glycol 3350은 위장관 검사 전 긴급히 완전한 장세척을 하는 데에 가장 유용하다. 한편, 전해질이 함유되지 않은 polyethylene glycol 3350은 급성변비 환자나 다른 약물에 충분한 반응을 보이지 않는 환자의 경우에 유용하다. Lactulose는 장 내용물의 산성화를 유발하며, 창자 내 수분 함유량을 증가시키고 변을 연화한다. Glycerin은 국소적 자극을 유발하며 삼투성 작용을 한다. 삼투성제는 고창, 복부경련, 더부룩함을 유발한다.

Sorbitol과 glycerin은 변비치료 용도로 직장을 통해 투여될 수 있으며, 직장 내 투여 시 직장 불편감과 자극이 발생할 수 있다. 당뇨병 환자가 경고 sorbitol을 복용한 경우 혈당수치를 모니터링해야 한다. Lactitol은 삼투 효과를 통해 소장으로 물이 유입되어 결장에 완화제 효과가 나타나게 한다.

윤활성 하제

Lizuid paraffin(mineral oil) 같은 윤활성 하제는 변을 코팅하여 변이 더 용이하게 배설될 수 있게 한다. 변을 덮는 기름진 필름은 변이 장내 재흡수로 인해 변 내 수분을 잃는 것 또한 방지한다.

자극성 하제

Diphenylmethane 유도체(ex. Bisacodyl)와 anthraquinones(ex. Senna)는 장 평활근의 신경 얼기에만 선택적으로 작용해 운동성의 증가를 일으킨다. 장용제피의 bisacodyl 정제는 위 자극과 구토를 피하기 위해 통째로 삼켜야 한다. 이 약은 제산제, H2 수용체 길항제, 프로톤 펌프 저해제나 우유 섭취 후 1-2시간 이내에는 약 섭취를 피해야 한다. 효과 발현시기는 빠르지만 그 효과는 복용된 용량에 따라 복부경련과 같은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이 분류군에 속하지만 다른 약물에 비해서 덜 빈번하게 사용되는 것으로는 피마자유가 있다. 피마자유는 임산부에게 투여 시 자궁 수축 및 파열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임산부에게는 안전성 X 등급으로 분류되며 수유부에게 피마자유 사용은 위험할 수 있음으로 분류된다.

염류성 하제

나트륨, 마그네슘, 인산의 염들은 장 내강으로 물을 유입해 장관 압 상승을 유발한다. 신장이상 환자의 경우 마그네슘과 인산은 체내에 축적될 수 있다. 인산나트륨 유도체 사용 시의 주의할 점으로는 탈수, 고 나트륨혈증, 고인산혈증, 산증, 저칼슘혈증, 신장기능 악화 등이 있다. 노인이나 울혈심부전 환자 또는 신장이상 환자들은 이 분류 군의 약물을 피하도록 권고된다. 미국의 경우 일반의약품 경구 인산나트륨 용액은 급성 인산염 신장병증의 위험 때문에 더 이상 판매를 하지 않고 있으며, 전문의약품들은 고위험군 환자의 사용 시에 관련한 블랙박스 경고를 포함하고 있다.

반응형

'약물치료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설사  (0) 2024.05.14
변비 치료 권고사항 및 약물치료 평가  (0) 2024.05.03
변비(Constipation)  (1) 2024.05.02
위식도역류병에 사용되는 약물 – 3  (0) 2024.05.02
위식도역류병에 사용되는 약물 – 2  (0) 2024.05.02